알고싶은 세상의 모든 지식
  • 홈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196)
      • 잡학상식 (26)
      • 생활정보 (12)
      • 정부지원사업 (3)
      • 재테크 (152)
        • 저축하기(기본중에 기본!!) (1)
        • 앱테크(작은돈도 모으면 큰 기쁨) (151)
      • 각종서류작성법 (1)
  • 홈
잡학상식

짐이 곧 국가다! - 태양왕이라고 불린 남자

짐이 곧 국가다라는 말은 인터넷상에서 꽤 유명한 말입니다.이 말은 누가 한 말일까요?절대왕정의 상징처럼 여겨지는 이 말은 프랑스의 태양왕 루이 14세가 했던 말로 알려져 있습니다.오늘은 바로 이 루이 14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년기루이 14세의 본명은 루이 디외도네(Louis-Dieudonné)이고, 공식 칭호는 루이 드 프랑스-나바르(Louis de France et de Navarre)입니다. 루이 14세는 1638년 9월 5일 프랑스 생제르맹 앙 레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왕위에 오를 운명이었던 그는 1643년, 부왕 루이 13세가 사망하면서 불과 다섯 살의 나이에 왕위에 올랐습니다. 이 시기에는 그의 어머니 앙리에트와 재상 마자랭이 섭정을 맡아 프랑스를 통치했습니다. 1643..

2024. 12. 18.
잡학상식

낙수효과 : 물이 넘치면 아래로 흐른다

평소 뉴스나 인터넷을 보다보면 낙수효과라는 말을 심심치 않게 접할수 있는데요.오늘은 낙수효과의 정의, 장단점, 그리고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낙수효과란?낙수효과(Trickle-Down Effect)란 경제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부유층과 기업에게 세금 감면과 같은 혜택을 주면, 마치 물이 넘쳐 바닥으로 흐르듯이 이들이 더 많은 투자를 하게 되어 경제 성장과 고용 창출이 이루어지고, 그 혜택이 결국 모든 계층으로 확산된다는 이론입니다. 소수의 경제 성장이 사회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뜻입니다.  낙수효과의 장점투자 촉진 - 기업과 부유층에 대한 세금 감면과 각종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를 유도하고, 경제 성장을 촉진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한다고용 창출 - 기업의 투자가 늘어나면 그 가운데에서..

2024. 12. 16.
잡학상식

삼권분립의 종류와 목적 역사

오늘은 삼권분립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삼권분립은 어떠한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졌으며, 어떤 역사를 지니고 있을까요?   삼권분립의 정의삼권분립은 정부의 권한을 입법, 행정, 사법 세 기관으로 나누어 서로 견제와 균형을 이루게 하는 제도입니다. 삼권분립의 종류입법권: 법을 만들고 수정하거나 폐지하는 권한 - ex 국회행정권: 행정 업무를 수행하는 권한 - ex 정부, 대통령사법권: 재판하는 권한- ex 법원 삼권분립의 목적상호 견제와 균형을 유지한다권력의 집중을 방지한다국민의 권리와 자유를 보호한다   삼권분립의 역사삼권분립의 개념 자체는 고대부터 존재했지만, 현대적인 삼권분립은 18세기 계몽주의 시대에 본격적으로 발전했습니다.존 로크: '정부론'에서 권력 분립의 중요성을 강조몽테스키외: '법의 정신'..

2024. 12. 16.
잡학상식

옥스포드가 선정한 올해의 단어는 '뇌썩음'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가 올해의 단어로 '뇌 썩음'을 선정했습니다. 사소하거나 하찮게 여겨지는 자료를 과잉 소비해서 인간의 정신적 또는 지적 상태가 퇴보하는 현상을 일컫는다고 하는데요.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디지털 장치와 정보의 홍수 속에서 이러한 증상을 경험하고 있어서 이런 단어를 선정한 것 같습니다. 참고로 '뇌 썩음'이라는 단어는 1854년 발간된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수필 '월든'(Walden)에서 처음 등장했다고 합니다. 그럼 오늘은 뇌를 건강하게 해줄 음식과 활동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뇌 건강에 좋은 음식뇌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식습관이 정말 중요한데요, 어떤 음식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블루베리블루베리는 항산화 물질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 뇌를 보호하는 데 도..

2024. 12. 15.
잡학상식

서양에서 건배를 토스트로 하는 이유

주말이고 해서 근처 빵집에서 달달한 토스트에 쌉쌀한 아이스아메리카노 한잔 하면서 휴일의 여유를 만끽하다 보니,문득 전부터 궁금했던 게 생각이 났습니다 어째서 영어로 토스트를 굽다(Make a toast)라는 말이 건배를 하다가 된 것일까?????넘나 궁금해서 검색 좀 해봤습니다. 토스트는 언제 만들어졌을까? 토스트를 말하려면 빵을 빼놓고 말을 할 수가 없는데요. 토스트는 빵과 역사를 함께합니다. 빵은 약 6000년 전에 고대 이집트인들에 의해 발견된 자연현상으로 만들어졌는데요.반죽을 따뜻한 곳에 두었더니 자연발효현상이 일어나 구웠을 때 부풀어 올랐던 것이죠.  하지만 부풀어 오른 빵은 사막에 방치해 두었을 때 굉장히 딱딱해지고 먹기 불편해집니다.  이때 와인이나 액체에 적신뒤 다시 굽게 되면 먹을 수 있..

2024. 1. 14.
잡학상식

계산기의 발명과 발전과정, 대체수단

계산기의 발명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고 발전과정과 대체수단에 대해서 이야기합니다.  계산기의 발명계산기는 인간의 시간을 절약해 주는 아주 고마운 도구다. 어려운 계산을 척척해주는 공학계산기부터, 단순한 잔돈계산까지 효용성은 무궁무진하다. 이 계산기는 언제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최초의 계산기는 프랑스의 수학자 블레즈 파스칼에 의해 발명되었다. 이때는 전기도 필요하지 않았고 단순한 기계장치에 불과했지만 발상자체는 정말 놀라웠다. 파스칼의 아버지는 세금공무원이었는데 매일같이 금전이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기록해야 하는데 그 일이 어마어마했다.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을 뿐만 아니라 그 정확도면에서 개선이 필요한 일이었다. 매일매일 힘든 일을 반복하는 아버지를 보던 파스칼은 1642년에 19세의 나이로 10진법..

2023. 3. 5.
  • «
  • 1
  • 2
  • 3
  • 4
  • 5
  • »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196)
    • 잡학상식 (26)
    • 생활정보 (12)
    • 정부지원사업 (3)
    • 재테크 (152)
      • 저축하기(기본중에 기본!!) (1)
      • 앱테크(작은돈도 모으면 큰 기쁨) (151)
    • 각종서류작성법 (1)

인기글

최신 글

반응형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알고싶은 세상의 모든 지식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